26.9 C
New York
Friday, July 25, 2025
HomeStory칼럼보석처럼 빛나는 술, 리큐르 알기

보석처럼 빛나는 술, 리큐르 알기

보석처럼 빛나는 술, 리큐르

 

색과 맛이 화려한 ‘리큐르(liqueur)’는 달콤한 맛과 향, 화려한 색 때문에 술보다 ‘액체보석’이라는 표현이 더 어울린다. 기분 좋게 취하고 싶다면 다양한 맛과 향으로 우리를 유혹할 리큐르의 신비한 세계로 떠나보자.

술을 좋아하는 애음(愛飮)가들에게 가장 이상적인 술은 무엇일까. 무척 아름다운 빛깔과 처음부터 끝까지 다양한 맛을 느낄 수 있는 칵테일이 아닐까? 술이란 짜릿하게 스트레이트 드링크(straight drink)로 마시는 게 좋지만, 다양한 맛을 음미할 수 있는 칵테일로 즐기는 것도 술맛을 자유자재로 느낄 수 있는 ‘프로’들만의 특권이다. 칵테일은 마시는 사람의 기호와 취향에 맞춰 독특한 맛과 빛깔을 내도록 하는 술의 예술품이기 때문이다.

 

중세 상류 여성들에게 인기

 

리큐르는 증류주에 약초, 허브, 과일, 종자류 등인 식물성 향미 성분과 설탕이나 벌꿀 등의 감미를 곁들여 만든 혼성주를 말한다. 리큐르의 어원은 여러 가지를 녹여 만들었다는 의미인 라틴어 ‘리큐화세(liquefacere․녹는다)’에서 유래된 것이다. 그 방법은 중세시대 연금술사들이 증류주에 다양한 약초들을 섞어 만들어 마시던 약주가 시초다.

전해 내려오는 얘기로 고대 그리스 히포크라테스가 쇠약한 병자를 회복시키기 위해 포도주에 약초를 넣어 물약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바로 리큐르의 기원이라는 말도 있다. 병자를 위해 만들었던 이 약주가 의학이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점점 그 역할이 줄어들게 됐고, ‘치유’라는 탄생의 목적을 넘어서 기호에 따라 과일, 꽃 등을 첨가해 다양한 맛과 아름다움을 강조한 또 하나의 술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과일이나 꽃을 소재로 한 리큐르는 그 색채와 향미가 독특하고 화려해 중세 상류사회의 여성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이 시대에는 파티문화가 발달하면서 귀족여성들이 파티석상에서 리큐르를 즐겨 마셨고, 이때부터 리큐르는 ‘여성의 술’로 정착됐다. 현재 전 세계에서 생산되고 있는 리큐르는 수만 가지가 넘는다. 흔히 집에서 담그는 과실주도 리큐르에 속하니 알게 모르게 리큐르를 즐겨왔던 셈이다.

 

   원료에 따라 4종류로 나눠

 

리큐르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원료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분류된다. 약초 향초계, 과실류, 종자류, 특수종류 등이 그것이다. 이들은 원료에 따라 향미를 추출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종류마다 고유의 제조법이 있다.

약초 향초계(herbs & spices) 리큐르는 가장 오래되고 전통적인 방법이다. 증류주를 만드는 과정에서 약초나 향초를 첨가, 증류해 만든 술이다. 약초 향초계의 리큐르 중 하나인 ‘베네딕틴(Benedictine)’은 수십 종의 약초를 가미해 참나무통 속에서 숙성시킨, 달고 중후한 맛을 내는 리큐르다. 프랑스 북부 베네딕트 수도원에서 만들기 시작했다.

갈리아노(Galliano)는 바닐라를 비롯해 몇 십 종류의 약초, 향초를 가미한 이탈리아 최고의 리큐르다. 황금색으로 상쾌한 향이 특이하며, 약간의 박하향도 있다. 술 이름은 에티오피아 전장에서 활약한 쥬세페 갈리아노라는 전쟁 영웅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며, 긴 술병 모양이 특징이다. 이밖에 프랑스 샤르뚜르즈 수도원에서 생산된 ‘샤르뚜르즈(Chartreuse)’도 유명하고, ‘캄파리(Campari)’, ‘압상(Absinthe)’, ‘아니제뜨(Anisette)’ 등도 약초 향초계 리큐르에 속한다.

과실류(fruits) 리큐르는 달콤한 향미 때문에 보통 식후에 스트레이트로 마시기 좋다. 과실이 주원료로 쓰이며, 각종 식물류를 보조로 사용해 맛의 조화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오렌지 껍질을 원료로 한 ‘큐라소(Curasao)’가 있으며, 오렌지 계열의 리큐르 중 최고급인 ‘코앙트로(Cointreau)’도 있다. 이밖에 코냑에 오렌지향을 가미한 ‘그랑 마니에(Grand Marnier)’와 오렌지 껍질과 브랜디가 원료인 ‘트리플 섹(Triple-sec)’, 그리고 슬로베리, 진, 모과, 자두로 만든 ‘슬로진(Sloe Gin)’도 과실류 리큐르로 유명하다.

종자계(seeds) 리큐르는 커피, 카카오, 바닐라 등 두류(豆類)를 이용하거나 과실의 씨에 함유된 방향 성분을 이용해 향미를 낸 리큐르다. 살구씨 향을 첨가한 ‘아마레또(Amaretto)’, 원두커피와 사탕수수를 원료로 한 ‘깔루아(Kahlua)’ 등이 있다. 특히, 깔루아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리큐르 가운데 인지도가 높은 제품으로 이국적인 느낌과 맛 때문에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특수종류(specialities) 리큐르는 식물 이외의 원료로 만든 술이다. 달걀노른자를 원료로 해 카스타드 크림 같은 맛이 나는 ‘아보카트(Avocaat)’ 등이 이 종류에 속한다.

Keep exploring...

하와이 ‘기쁨의 땅’에서 누리는 진정한 쉼과 럭셔리 포시즌스 오아후 여름 맞이 ‘웰니스’ 프로그램 런칭

(트래블앤레저)하와이 오아후섬 서부 해안의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포시즌스 리조트 오아후 앳 코올리나(이하, 포시즌스 오아후)가 진정한 힐링 휴가를 위한 여름 웰니스 프로그램과 특별한 객실 패키지를...

NHN여행박사 ‘우주 최저가’ 프로모션 진행… 해외여행 최대 44% 할인

(트래블앤레저) NHN여행박사(대표 윤태석)가 해외여행 상품을 최대 44% 할인하는 ‘우주 최저가’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진행하는 이번 프로모션은 6월 24일과 7월 1일 두 차례로...

Places to travel

Related Articles

힐튼 호텔 고(考)

남산 기슭에 자리 잡은 밀레니엄 힐튼 서울(Millenium Hilton Seoul)은 소위 집창촌(集娼村)의 대명사로 불렸던 서울역...

2023년 국제 관광 전망과 한국 관광이 나아가야 할 길

2022년은 2021년에 비하여 방역 시스템이 완화되고, 국제 항공 노선이 서서히 증편 되면서 2022년 12월말까지는...

2023 비지니스 관광 시장 트렌드 전망 및 분석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전 세계 관광객수는 15억명으로 발표되었다. 이중 비지니스 관광객수는 얼마나될까? 대체로 세계 관광객...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농촌관광을 다시 생각한다.

요즘 지방 신문을 보면 “지방(농촌) 소멸”에 대한 지역의 위기를 알리는 기사가 넘쳐난다. 1960~70년대 필자도...

국제관광의 재도약 시기는 언제쯤일까?

2019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1,750만명이었으나, 2020년 코로나 전파로 250만명으로 줄어 들더니, 2021년에는 100만명...

스웨덴 ‘라포니안’, 라플란드인의 땅

라포니안 ( 라플란드 ) 지역은 스웨덴의 노르보텐주에 있는 자연보호지역이다. 지리학적, 생물학적, 생태학적 진행과정을 잘...

[주말여행] 거창 황산마을

가을이 깊어간다. 바람이 불 때마다 낙엽이 흩날린다. 아침저녁으로는 날씨가 제법 차다. 희미한 입김이 새어나오고...

한류의 최종목적지는 K-Spirit이어야 한다

우리에게 2021년이 갖는 의미    2021년은 대한민국에 기념비적인 한 해였다. 외교적으로, 경제적으로, 문화적으로 대한민국이 명실공히 선진국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