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센트 반 고흐가 사랑한 귀부인 ‘모카’

최초의 커피가 에티오피아에서 기원한 후 아랍세계로 전파되면서 값비싼 기호식품이 됐다. 중세유럽에서는 커피를 구하기 위해 혈안이 되었지만, 이슬람 문명권은 이때까지만 해도 예멘 외의 지역에서 커피 재배를 금지시켰다.

아라비아 반도 서남쪽에 자리한 이 조그만 나라는 남쪽에 홍해와 인도양을 접하고 있어 중동 아랍권에서는 드물게 초록이 풍부하고 온난 습윤한 기후를 가졌다. 이 지역의 중앙 산간지인 배니 마타리 지역에서 나는 커피가 세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커피다.

바로 화가 빈센트 반 고흐가 사랑했던 커피의 귀부인 ‘예멘 모카 마타리’.

 

가장 먼저 커피를 사랑했던 그들

 

아직까지도 예멘의 커피 농장은 현대화하지 않고 소량의 커피를 자연 건조시키는 400년 전통 방식을 고수한다. 수확한 그대로 생두의 등급이나 선변작업을 거치지 않는 것이다. 이로 인해 겉으로만 봐서 예멘의 원두는 모양도 제각각이고, 크기도 천차만별이다. 하지만 자연건조로 인해 톡 쏘면서도 초콜릿 향과 같은 풍미를 지니게 된다. 이 독특한 향으로 예멘 모카 마타리는 초기에 커피 사탕이나 초콜릿의 재료로도 사용될 정도로 대중화되기도 했다.

예멘 커피는 전통적인 올드 아라비카 품종으로 재배되며 비옥한 토양과 인도양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으로 커피 재배에 알맞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특히 모카 마타리가 재배되는 배니 마타리 지역은 산악지역으로 해발고도 2,500m이상의 고원지대다. 오래전부터 커피산업이 발달한 예멘은 주요 수출품인 커피나무를 위해 치수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비가 부족한 해를 대비해 자연 수로를 만들고, 수로를 인공적으로 조절해 암반수가 커피나무에 제대로 흡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물이 없어도 잘 자라는 사막의 포플러를 주변에 심어 커피나무가 강한 햇볕에 상하지 않게 그늘을 만들어 주기도 했다.

전통의 재배방식은 낮은 노동생산성과 높은 가격으로 대단위 영농시설을 갖춘 아프리카나 남미와 경쟁하는 것이 쉽지 않다. 한때 세계 최대 커피 생산지였던 과거의 영광이 많이 퇴색됐지만 예멘의 모카마타리는 특유의 상큼함과 다크초콜릿을 연상시키는 풍부한 향미로 여전히 커피의 귀부인이라는 작위를 손에 쥐고 있다.

 

 

전통적인 예멘 커피는 껍질째 말린 커피 열매를 구워 그대로 빻아 끓는 물에 넣고 우려낸다. 그래서 향과 맛은 우리의 한약다린 물 같은 느낌도 난다. 최근 예멘에서는 커피를 대체한 새로운 기호식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바로 카트라 불리는 식물이다. 남아메리카의 ‘코카 잎’과 비슷한 효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 식물은 정신을 약간 혼미하게 만들어 예멘 국민의 건강이나 경제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한다. 어쨌든 한때 대단위 커피 농장이었던 곳들이 이제 카트농지로 바뀌고 있어 예멘의 커피 산업은 점점 하락하는 추세다. 커피와 달리 별도의 가공공정이 없이 생잎을 바로 씹는 카트가 커피보다 훨씬 이윤이 많이 남는다는 이유다. 다행히 지방에서는 수출용 커피 농장이 몇 군데 남아있고, 소규모의 원두 생산으로 명맥을 유지한다.

자메이카 블루마운틴의 위상이 품질 저하로 인해 추락했을 때 일본인들의 대대적인 투자가 이어져오던 것을 보면 커피의 역사 그 자체인 예멘의 커피산업에 자본이 투입되지 않은 이유는 섣불리 판단하기 어렵다. 아마도 무역요지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하기 위해 외부로 유출되는 정보를 제한했던 과거 폐쇄성의 답습 때문이 아니었을까?

 

발에 걷어차이는 돌멩이마저 문화재?

 

유구한 역사를 지닌 예멘은 가장 오래된 인류의 거주지 중에 하나다.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의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예로부터 다양한 문화가 유입되면서도 아랍인의 독특한 기질과 문화적 전통성이 가장 잘 이어져 가고 있는 나라다. 오래도록 무역의 중계지, 집산지 역할을 하며 크게 번영하기도 했지만 오스만 튀르크와 영국에 연이은 점령당하기도 했다. 이후 1967년 우리나라처럼 예멘아랍공화국(북예멘)과 영국령으로 남아있던 예멘인민민주공화국(남예멘) 분단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1990년 5월 마침내 예멘공화국이 선포되며 통일을 이뤘지만 과거 유통의 중심지였던 예멘의 지리적 이점은 이슬람 무장 조직의 이동통로로 변질돼버렸다.

 

 

이제는 포브스지가 선정한 ‘해외 여행하기에 가장 위험한 나라 15곳’ 가운데 여덟 번째를 차지하고, 악명 높은 외국인 납치와 끝나지 않는 부족 간 전쟁과 테러로 혼란스럽다. 수려한 자연 경관과 돌 벽마저 천년의 세월을 훌쩍 넘긴 구(舊) 사나지역의 서쪽지구는 시대를 뛰어 넘는 단정함을 선사하지만 서구 열강의 대한 배타심 때문인지 지독한 폐쇄성을 갖고 있는 국가다. 약 3,000년 전 구약성서 속 노아의 아들이 세운 인간 최초의 도시 중 하나가 ‘사나’로 바로 예멘의 수도다. 400년 이상 된 가옥과 상가들이 즐비하고 향료, 장식품, 잠비아(단검) 등 다양한 제품을 사고파는 시장도 자리하고 있다. 이 오래된 도시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문화유산이면서 동시에 아랍세계의 3대 유물로 꼽힌다.

사나로부터 173㎞정도 동쪽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한 마리브는 기원전 10세기부터 800년간 예멘을 통치했던 시바왕국의 고대 수도다. 솔로몬과의 만남으로도 유명한 시바여왕에 통치하던 이곳은 인도양으로부터 지중해로 운반되던 금과 향료의 운송로로 1,200여 년간 역사 속에 자취를 남긴 곳이다. 지금은 루브 알하리 사막 가운데 작은 마을로 남아 있는 이곳은 BC 8년에 건설된 세계 최초의 댐, BC 400년에 건설된 빌키스 사원 등의 유적들이 남아있고 현재 한창 발굴 중인 시바 유적지는 이집트의 피라미드처럼 유물이 대규모로 출토되고 있어 세계적인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다.

예멘은 이슬람교국이기 때문에 라마단 기간(올해는 8월 12일부터 9월 10일까지) 중에 외국인은 이슬람교도 앞에서 음식을 먹거나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거리에서의 흡연은 삼가도록 해야 하고, 그들의 종교생활에 거슬리는 행동은 금물이다. 이들은 왼손은 불결한 일에만 사용하고 오른손은 깨끗한 일에 사용하기 때문에 현지인과 물건을 주고받거나, 음식을 주고받을 때도 반드시 오른손을 사용해야 한다.

이슬람 국가의 특성으로 이 나라에서 벌어지는 축제는 대부분 종교적인 색채가 짙다. 가장 대표적인 축제는 금식기간인 라마단이 끝난 후 행해지는 단식 종료 축제일이다. 이슬람력으로 10월 첫날부터 사흘간 이어지는 행사로 이 날 남자들은 해가 뜬 직후부터 가장 좋은 옷을 차려입고 사원에 모여 예배를 보고, 여자들은 조상이나 친척들의 묘소에 성묘를 간다.
이 외에도 이슬람교도들이 지켜야 하는 5대 의무에 해당하는 순례를 기념하기 위한 12월 성지순례 축제일이나 이슬람력 1월 1일인 새해를 맞는 원단, 마호메트의 탄생일을 기리는 예언자의 생일 등이 있다.

예멘정부는 자국민들의 방어 목적으로 총기 소유를 헌법으로 보장함에 따라 성인 1인이 평균 3정의 총기를 소유하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된 폭력적인 사회 중에 하나다. 잦은 총기 사고로 인명피해가 빈번하고, 부족이나 집안간의 갈등이 종종 총격전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정부군과 반란군은 올해 2월 정전협정을 맺었지만 남부의 극렬한 분리주의 운동이 과격 양상을 보이고 있어 예멘이라는 나라는 실상 관광지라는 말로 추천하기 어려운 곳이다. 우리 정부도 여행 경보단계를 통해 예멘 전 지역을 3단계 여행제한 구역으로 제한하고 있다.

인류의 가장 오래된 도시, 그 역사가 깊게 패어있는 예멘이라는 국가는 어쩌면 쇄락의 길을 걷고 있는지 모른다. 경작 규모가 축소되고 있는 커피의 귀부인 예멘 모카커피도 그 나라의 전철을 밟고 있는지 모른다. 모든 것은 흥망성쇠가 있다고 하지만 타오를 때의 빛이 눈 부셨던 만큼 그 것의 몰락을 바라보는 일은 더 애달프다.

글: 구윤정기자 사진: 여행레저신문 DB